회원가입

생활 역학 용어

사주

사주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하여 오 천 여 년 동안 계승 발전되어온 우주의 음양 오행의 원리를 기초로 한 신비로운 운명철학이다.

사주는 사람의 생년월일시의 간지를 기준으로 해서 그 숙명을 예지하는 방술이다. 고로 이것은 오성술, 구성법, 기학, 육임, 자미두수등과 더불어 간지를 기준으로 하는 예언술 즉 간지술의 일종이다.

이와 같은 간지술은 갑을병정 등의 십간과 자축인묘 등의 십이지를 근거로 하는 것인데, 출생일시의 간지와 인간의 운명간에 인과관계가 있느냐 하는 것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근대 과학적 개념으로는 실증하지 못한다.

우리 인간의 생애에 있어서 가장 우연적 사실은 출생 그 자체라는 것은 아무도 부인 못할 것인데 이 점으로 보면 인간의 숙명을 판단함에 있어 출생년월일시를 제일 먼저 주목함도 오히려 당연하다 하겠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신비로운 숙명의 동인을 끝까지 탐구하여 이를 명백히 천년전부터 고대중국에서 행하여졌다는 것이 현존하는 기록에도 남아 있다.

오늘날 보는 바와 같은 사주의 발달은 삼천년 이상의 장시일에 걸친 제성현 및 제학사들의 연찬구명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의 집적에 의한 것이겠으나, 이를 하나의 체계를 세워 세상에 공표한 것은 중국의 태화서봉당에 거주하던 서공승이라는 것이통설이다.

사주학에서는 사람의 생년, 생월, 생일 및 생시의 간지가 상호작용하여 그 운명을 좌우한다고 본다. 각 생년, 월, 일, 시는 간지 두 자로 되어 있으므로 총8자가 된다. 사람의 운명을 사주 팔자라고 하는것도 여기에 기인한다 사주추명학에 있어서는 년의 간지를 년주, 달의 간지를 월주, 날의 간지를 일주, 시의 간지를 시주라 한다.